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싱크밀림
- 카카오톡채널차단
- 하이브리드 웹앱
- php
- 윈도우에서 애플뮤직
- 애플뮤직 구독취소
- vscode
- STREAMMING
- 윈도우11
- software only
- Go 언어
- 비주얼스튜디오코드
- WebGPU
- docker mtu
- 클라우드 서버 도커
- JPEG Support
- php8
- 복원하지 못했습니다
- gpu_compositing
- 카페24 클라우드
- 카카오톡채널알림
- 썸네일추출
- ffmpeg
- JavaScript
- 도커 외부 네트워크
- docker
- 오프라인 디스크
- 무한 리다이렉트
- 카카오톡채널알림끄기
- 카카오톡채널
- Today
- Total
목록윈도우 (5)
단단한수박

아.. 뜬금 잘 사용하던 Hyper-V 내에서 서버가 켜지질 않는다.. 깊은 빡침.. 구글링을 해보면 다들 에러 코드가 뜬다던가 어떤 문제가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만하게 나오는데 왜 난 복원 못함 끝인건지 답이 없다 생각했는데 답은 생각보다 해결책은 단순했다 Hyper-V에 대해서 알아가는 과정이라 왜 이렇게 된건지 알고 싶었으나 정황상으로 보면 서버 상태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바람에 (강제로 종료됬거나) 정상적으로 복구를 할 수 없어서 안되서 그런게 아닐까 싶다.. 암튼 이렇게 다시 서버가 켜져서 다행

네트워크 포트 확인하려고 하면 사용하는 기능인데 간혹 안되서 당황 할 때가 종종 있는데 순차적으로 따라만 한다면 후다닥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정말 편하게 잘 썼던 팀뷰어, 애니데스크 하지만 상업적으로 쓰는거 같으니 못쓰고, 유료전환되면서 다른 원격 프로그램 많이 써봤지만 적당한게 없어서 기본으로 딸려 있는 원격 데스크톱으로 타협보기로 한다! 1. 단축키 Win + S키를 눌러서 '원격'이라고 쓰고 '원격 데스크톱 설정' 메뉴를 클릭 하자 2.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 아래 스위치 버튼을 눌러 '켬' 상태로 만들자 (활성화 여부 창이 뜨면 '확인' 버튼을 누르자) 3. 단축키 Win + S키를 눌러서 '방화벽'이라고 쓰고 'Windows 방화벽에서 앱 허용' 메뉴를 클릭 하자 4. 허용되는 앱 창에서 '원격 데스크톱' 항목을 찾아서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 (되어있지 않다면 원격으로 접속할 수 없으니 필수!!) 5. 원격 데스크톱 설정 끝! 6-1..

중고로 산 컴퓨터에 분명 물리적으로 하드는 2개 꽂혀있는데 인식은 1개만 되어 있음 스샷 순서로 컴퓨터 관리 창을 열어준다 스샷 순서대로 들어왔더니 뭔놈의 오프라인.. 포맷도 안되고 답이 없는 줄 알았는데 단순히 스샷 설명처럼 따라해서 온라인으로 바꿔준다면 아주 심플하게 사용가능한 디스크로 세팅 완료 끗

사실 우분투 말고도 관련 리눅스나 윈도우 같은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ISO)만 있다면 앵간해선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준비물 1. 우분투 이미지 (ISO) 2. 이미지 용량 크기 이상의 USB 3. Rufus (부팅 USB 제작 프로그램) 1. 우분투 이미지 (ISO)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공식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받기 (이 글은 데스크탑 버전 기준입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이미지를 받기 2. 이미지 용량 크기 이상의 USB 집에 돌아다니는 USB가 있다면 4GB 이상의 USB를 준비 (급하게 사야 된다면 요즘 편의점에서도 구매가능!) 3. Rufus (부팅 USB 제작 프로그램) https://rufus.ie/ko/ 공식사이트에 접속 바로 실행할..